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보기42

한국판 종이의 집: 공동경제구역 리뷰 - 넷플릭스 24일 종이의 집 리메이크작 종이의 집: 공동경제구역 여섯 편이 넷플릭스를 통해 공개되었다. 원작을 재미있게 본 입장에서 한국판 종이의 집 리메이크작은 어땠는지 이야기해 보겠다. 원작은 보고 만든 건가? 1편 시작부터 기대감을 확 떨어 뜨린다. 액션도 그렇고 캐릭터나 세계관 설정도 그다지 매력적이지 않았다. 원작 스토리가 있음에도 너무 억지 느낌으로 수정을 가해서 완성도를 떨어 뜨린다. 그리고 캐릭터들의 지능도 전반적으로 낮아져서 치열한 말싸움 눈치 싸움에서 오는 긴장감이 모두 사라졌다. 원작 종이의 집 에서 가장 중요한 점은 긴장감이라 생각한다. 누구도 믿을 수 없지만 같이 가야 하는 사람들과의 갈등, 교수의 치밀한 계획을 뚫고 들어 오려는 외부의 압력에 발생하는 돌발상황 또 거기서 오는 긴장감이 있었.. 2022. 6. 25.
R의 공포란 무엇인가요? R은 무엇인가? 경기후퇴를 뜻하는 리세션(recession)을 말합니다. 리세션은 한 나라의 GDP를 기준으로 판단합니다. 보통 2분기 연속 GDP 성장률이 감소했을 때 리세션에 들어섰다고 판단합니다. 이렇게 리세션이라는 것은 지나고 나서 평가가 되는 것이기 때문에 현재 상황에서는 알 수 없습니다. 리세션에 들어서면 경제 활동이 활기를 잃어 규모가 전반적으로 축소됩니다. 스태그네이션과는 다른 것인가요? 스태그네이션(stagnation)은 경기침체를 말합니다. 스태그네이션은 경기가 성장하지 않는 상태가 지속되는 것을 뜻합니다. 즉 스태그네이션은 저조한 성장을 리세션은 마이너스 성장을 뜻한다고 보면 됩니다. 왜 공포 인가? 지금 리세션이나 스태그네이션이 무서운 이유는 물가가 상승하는 인플레이션까지 일어나고 .. 2022. 6. 17.
Yet to come - BTS 신곡 가사 & 번역 Yet to come - 우리의 최고의 순간은 아직 오지 않았어 - 방탄소년단 - 엣투컴 Was it honestly the best? - 해석: 진정 이것이 최고 일까? Cause I just wanna see the next - 해석: 난 그저 그 다음을 보고 싶은걸 (의역: 이게 끝이라고 생각하지 않는걸) 부지런히 지나온 어제들 속에 참 아름답게 Yeah the past was honestly the best - 해석: 그래 그때 최고 였지 But my best is what comes next - 해석: 하지만 최고의 순간은 이 다음이야 (의역: 보다큰 최고의 순간이 올거야) I'm not playin', nah for sure - 해석: 난 장난 하고 있는게 아니야 확실히 아니지 그날을 향해 숨.. 2022. 6. 11.
이더리움 테스트넷에서 PoS전환 성공 Beacon Chain과 병합(머지, Merge) 이더리움 테스트넷중 가장 오래된 Ropsten에서 비콘체인과의 병합이 성공적으로 완료되었습니다. 테스트넷에서의 최종 단계로 머지된 이후 이더리움은 PoS로 변환 됩니다. 이더리움 코어 개발자인 Tim Beiko는 테스트넷에서 블록이 생성되기 시작했다는 트윗을 올렸습니다. 그리고 기존 발생했던 누락된 블록 문제에 대해서는 모든 코어 개발자들이 이번 금요일까지 심층 분석해서 적절한 업데이트를 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습니다. (참고: 2022.05.27 - 이더리움 비콘체인 리오그 - 8월 POS 전환 연기되나?) 2020년 12월에 PoS를 지원하기 위한 비콘체인 을 출시한이후 가장 기다려왔던 순간이 병합(Merge) 입니다. 하지만 2022년에만 여러번 .. 2022. 6. 9.
반응형